반응형
1. 홈페이지 소스를 언어에 맞게 인코딩해주는 언어
인코딩이란? 입력한 문자나 기호들을 컴퓨터가 이용할 수 있는 신호
한국어를 한국어로 컴퓨터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어줍니다.
2. euc-kr
한국어만 인코딩합니다.
3. UTF-8
세계문자 전체를 인코딩합니다.
4. 사용방법
대부분 전체를 인코딩하는 UTF-8을 사용합니다.
<!-- html 에서 <head></head> 사이 -->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euc-kr">
<!-- html 에서 <head></head> 사이 -->>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UTF-8">
<head></head> 사이에 넣어주세요.
head안 어디에 넣어도 상관없지만 대부분 젤 상단에 넣어줍니다.
/* css 제일 상단 */
@charset "euc-kr";
/* css 제일 상단 */
@charset "utf-8";
CSS파일 안에서도 상단에도 넣어줍니다. CSS에는 안 넣어도 홈페이지 안에는 문제가 없습니다.
하지만 CSS를 인터넷에서 볼때 (수정할 때) 이렇게 한글로 보이는데
넣어주지 않으면 한글이 이런식으로 보이게 됩니다
반응형
'웹소스공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소스공유] tab 클릭시 페이지 이동, 스크롤시 메뉴 탭 위에 붙는 소스 navigation responsive codepen.io html/css/js (0) | 2022.03.08 |
---|---|
[소스공유] 클릭시 위에서 페이지 나오게 되는 토글형태 Slide Down Toggle codepen.io html/css (0) | 2022.03.07 |
댓글